퇴직연금 운영 방법(DC,IRP)쉽고 간단하게 알아보겠습니다.
오늘은 미리 말씀드린 대로 퇴직연금을 어떻게 운영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.
이 글을 포스팅하고 있는 제 나이는 30대입니다.
제가 현시점부터 퇴직연금을 가입하였을 때 가장 고려해야 할 부분은
투자의 안정성보다는 조금 더 공격적인 수익률을 올릴 투자 상품에
가입하는 것이 유리하다 생각하는데요
55세 이후의 연금 수령의 기간까지
약 20년간의 장기투자의 경우 안전자산의 수익률보다
위험 자산을 수익률이 상대적으로 높았기 때문입니다.
일반적인 자산 운영의 관점에서 볼때
"100-나이"의 자산배분 방법을 통하여
위험자산의 비중을 조절하는 방식을 많이 사용되는데
30대의 가입자라면 위험자산 70% 안전자산 30%를
40대의 가입자라면 위험자산 60% 안전자산 30%를
......... 이러한 방식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
3년 또는 5년 또는 10년의 주기를 잡아
본인의 투자 성향에 따라 결정하시면 됩니다.
‘100-나이’에 따른 연령별 자산배분 전략이 은퇴에 즈음한
투자자에게 변동성 위험을 줄여주 기도 하지만
대세 상승장의 수익을 가질 수 있는 기회도 함께 가져갑니다.
따라서 ‘100-나이’에 따른 연령별 자산배분은
언제나 좋은 성과를 가져다주는 투자원칙이 아니라
은퇴에 가까워질수록 자산의 변동성을 줄여주는
하나의 자산배분 방법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.
저의 개인적인 투자 상품을 첨언하자면
위험자산
미국 성장주(30%)
미국 S&P ETF(20%)
중국 본토(20%)
(이 자산들은 단기적으로 급락이 올 순 있겠으나
장기적으론 자산의 인플레이션에 따라 상승한다는 가정하에 장기투자의 목적입니다.)
안전자산
현금+채권 (30%)
운영 중입니다.
제 포트폴리오에 국내 주식은 직접투자로 진행하는 부분이 있어 제외한 것이니
국내 주식을 포함하는 것 또한 나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.
우리는 먼 인생을 살아야 하지만 아쉽게도 은퇴의 시기는 짧아졌습니다.
미리미리 은퇴를 대비하시어
은퇴 후 에도 나의 수익을 보존할 방법을 항상 고민하시고
실천하시길 당부드립니다.
'정보 > 경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카카오와 네이버 주가 하락 이유와 전망 (0) | 2021.09.10 |
---|---|
인터넷에는 안나오는 퇴직연금 세부내용 (0) | 2020.11.19 |
퇴직금과 퇴직연금에 대해서 알아보자. (0) | 2020.10.29 |
사명 변경으로 재도약을 꿈꾸는 HMM(현대상선) (0) | 2020.07.04 |
우리은행 DLS 사태 수익율 -99%대 손실 어떻게 된것인가?? (0) | 2019.10.06 |
댓글